아기 기저귀 떼기 전 참고사항

2023. 7. 4. 00:51육아정보

반응형

아기 기저귀 떼기 전 참고사항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 입니다.

 

오늘은 설계 팁을 올리려고 했는데 짧게 육아 글 포스팅하게 되었네요.

둘째 아들이 곧 생일입니다. 36개월, 만 3세가 됩니다. 그래서 드디어 기저귀 떼기에 도전해볼 생각인데요.

그전에 준비 사항이나 주의 사항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기저귀 떼는 시기
기저귀 떼기를 시도하는 시기는 아기마다 다르지만, 보통 만 2세에서 3세 사이에 시작하는데요. 아기도 표현은 못하지만 자기 나름대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기저귀를 떼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답니다.

2. 기저귀 떼기 위한 교육 방법
기저귀 떼기 교육은 아이가 기저귀를 떼기 전부터 조금씩 천천히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제일 첫단계가 대소변을 변기에 앉아서 누는 책을 보여주고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기용 변기를 준비하여 배변놀이를 하며 변기와 친해질 수 있도록 합니다. 배변놀이할 때는 많은 칭찬으로 배변 훈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도록 해주세요.

3. 기저귀 떼기의 어려움
아기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저귀 떼기 초반에는 아기와 부모님 모두에게 어려움이 함께 합니다. 아기는 태어나서 수년간 차고 있던 기저귀가 없어짐에 오는 낯선 느낌으로 제대로 배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고, 부모님은 아기의 배변 신호를 알아차리기 위해 평소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하고, 혹시 아기가 실수했을 때에는 많은 양의 빨래가 동반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님의 적극적인 이해와 노력, 아기가 협력하여 잘 극복할 수 있습니다. 

4. 기저귀 떼기의 장점
기저귀 떼기는 훈련의 시작이 아기의 성장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기저귀를 떼는 훈련을 하면 아기는 자신의 몸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고, 기저귀 떼기를 성공한다면 큰 성취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아기의 자립심을 키우고,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5. 기저귀 떼기 위한 도움이 되는 팁

변기와 친해질 수 있도록 소소한 놀이로 접근합니다.

배변에 대한 의사표현 "쉬~" 또는 "응가" 를 간단하게 알려줍니다. 

일정 시간마다 변기를 앉혀봅니다.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줍니다.

한번이라도 성공했을 때는 폭풍 칭친을 해줍니다.

 

 

포스팅하면서 찾아보니 생각보다 우리 둘째 기저귀 떼는 시기가 늦는 거 같네요. 

첫째 별봉이도 36개월되면서부터 기저귀 떼기 시작해서 일주일만에 딱 떼었거든요. 이불 빨래는 몇번이나 했는지 ㅠㅠ

더운 날씨에 땀차고 해서 그런지 기저귀에 자꾸 손대는 둘째 해봉이도 짧은 시간 내에 성공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육아하시는 부모님들, 특히 아빠님들 힘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