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
-
고조파와 고주파의 차이점
고조파와 고주파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모터 샘플 제작 후 평가할 때 '삐-' 하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대해 설명할 때, 고주파와 고조파를 혼동해서 설명하는 경우를 더러 봤습니다. 비전공자(?)에게 정확하게 의미 전달을 하고 설명해야 하는데, 막연하게 둘러대어 잘못 이해하게 하는 경우가 있어서 고조파와 고주파의 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모터 설계에서 고조파(Harmonics)와 고주파(High Frequency)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영어로 표기하면 전혀 다르지만 한글로 설명하면 비슷하게 들리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들은 모두 전기적, 자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효율과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 충분한 고려가..
2025.03.05 -
할바흐 배열
할바흐 배열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 입니다. 이번 주 업무 회의를 하면서 할박 배열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했습니다. 나름 모터와 관련된 용어를 많이 안다고 생각했었는데, 생소한 단어에 회의 중 급하게 검색을 하여 알게 되었고, 조금 더 상세하게 알고 싶어서 할박 배열에 대해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할바흐 배열(Halbach Array, 할바흐 배열, 할박 배열)은 특수한 방식으로 자석을 배열하여 한쪽 면에서 자기장이 강하게 형성되고, 반대쪽 면에서는 자기장이 거의 사라지도록 만든 배열 방식입니다. 이는 1980년대 미국 물리학자 클라우스 할바흐(Klaus Halbach)에 의해 개발한 것으로, 자기장을 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자기 효율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1. 할바흐 배열의 원리일반..
2025.02.14 -
브러시드 모터 vs. 브러시리스 모터
브러시드 모터 vs. 브러시리스 모터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DC(Direct Current, 직류)모터는 간단한 구조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러한 DC모터는 크게 브러시드 DC모터(Brushed DC Motor)와 브러시리스(Brushless DC Motor, BLDC)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가지 모터에 대해서 기본적인 원리와 차이점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장단점을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1. 브러시드 DC 모터란?(1) 구조 및 원리브러시드 DC 모터는 가장 전통적인 형태의 직류 모터로, 고정자(Stator, 스테이터), 회전자(Rotor, 로터), 브러시(Brush), 정류자(Commutator)로 구성됩니다.고정..
2025.02.06 -
정류자와 브러시
모터의 핵심 부품 : 정류자와 브러시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 모터는 우리의 일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BLDC모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전동 공구, 가전제품, 자동차 등 각종 산업용 모터나 가전 모터에서 브러시드 DC모터(Brushed DC Motor)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브러시드 DC 모터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BLDC 모터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이러한 브러시드 DC 모터의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정류자(Commutator)와 브러시(Brush)입니다. 이 두 가지 부품이 어떻게 작동하며, 모터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정류자(Commutator)란?1) 정류자의 정의정류자(..
2025.02.03 -
약계자, 약계자 제어
약계자, 약계자 제어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회의 석상에서 전자기 설계 업무를 하는 연구원들과 모터 제어를 담당하는 연구원들 간에 약계자 제어에 대한 이야기를 간혹 듣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약계자, 약계자 제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전기 모터에서 약계자(弱界磁, Field Weekening)는 자속(자기의 흐름)을 일부 약화시키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약계자 제어는 약화시킨 자속을 조절하는 모터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기술로, 모터의 토크를 낮추면서 속도를 높여 모터의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확장된 속도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1. 약계자의 원리전기 모터는 일반적으로 자속을 형성하는 계자(회전자를 기준으로 자속을 만들어주는 부분)와 이를 활용해 회전을 생성하는 ..
2025.01.24 -
토크리플과 코깅토크
토크리플과 코깅토크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모터밥을 먹기 시작하면서부터 토크리플과 코깅토크에 대한 이야기를 참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들을 때마다 토크리플과 코깅토크의 개념이 비슷비슷해서 헷갈리고 했습니다. 정확한 개념이 없이 경험적으로 알던 지식이라서 이내 한계가 들어나서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좀더 상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토크리플과 코깅토크의 차이점, 원인,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모터 설계와 성능 분석에서 중요한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바로 토크리플(Torque Ripple)과 코깅토크(Cogging Torque)입니다. 이 두 개념은 모터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특히 BLDC 모터나 영구자석형 동기 모터(PMSM)와 같은 모..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