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정보(30)
-
권선계수란?
권선계수란?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권선계수(Winding Factor)는 권선이 생성하는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의 합성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나타내는 계수로, 권선 구조에 따라 전기적 효율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전동기나 발전기의 권선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간단히 말해, 권선계수는 전기적 힘(기전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권선의 효과적인 비율을 나타냅니다. kw=kd×kp - kw (권선계수, Winding Factor) : 기전력의 실제 합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권선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기전력이 효과적으로 합성되고, 모터의 성능이 최적화되고, 낮아지면 기전력의 일부가 상쇄되어 모터 효율이 떨어질 수..
2025.01.14 -
모터의 구분 : 내전형 모터, 외전형 모터
모터의 구분 : 내전형 모터, 외전형 모터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모터의 구분하는 방법 중에 작동원리에 따라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로 구분하여 작동 원리와 특징을 파악했습니다.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하여 링크 걸어 두겠습니다.(모터의 구분 :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이번 포스팅에서는 모터의 구조적인 차이에 따른 분류 방법 중, 회전자(Rotor)의 위치에 따라 내전형 모터와 외전형 모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내전형 모터(Inner Rotor Type Motor)1) 특징 : 내전형 모터는 회전자(Rotor)의 위치가 고정자(Stator)의 내부에 있는 구조입니다. 회전자의 크기가 고정자보다 작아 설계가 더 단순하고 컴팩트한 모터입..
2025.01.08 -
동기 릴럭턴스 모터
동기 릴럭턴스 모터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지난 번 포스팅에서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그 내용에 이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동기 릴럭턴스 모터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에 대한 정보는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모터의 구분 :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 동기 릴럭턴스 모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의 원리는 자기 저항(릴럭턴스)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는 릴럭턴스 토크(reluctance torque)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몇 가지 기본 개념과 구조적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1. 자기 저항(릴럭턴스)의 개념릴럭턴스(Reluctance)는 자기 회로에서 자기장의 경로에 저항..
2025.01.03 -
모터의 구분 :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
모터의 구분 :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입니다. 요즘 동기 릴럭턴스 모터에 대해서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 모터를 어떤 분야에 어떻게 사용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동기 모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거 같아서 포스팅을 작성합니다.모터를 구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작동 원리에 따라서 유도 모터와 동기 모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두 모터의 작동 원리 와 특징을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1. 유도 모터(Induction Motor)유도 모터는 간단히 말해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움직이는 모터"입니다. 이 모터의 핵심 원리는 '전자기 유도 현상'입니다.고정자(스테이터, Stator)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
2024.12.29 -
모터의 Y결선과 Δ결선
모터의 Y결선과 Δ결선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 입니다. 내년을 준비하는 새로운 개발 프로젝트를 위하여 부서원들과 함께 브레인 스토밍을 2시간 넘게 진행을 했습니다. 전체적인 개발 방향을 정해두고 아이디어를 포스트 잇으로 붙여가며 두서없이 이야기 하던 중, 근처에 있던 뉴비, 신입사원이 Y결선과 Δ결선이 무엇인지 물어보길래 간단하게 설명해줬습니다. 비전공자이지만 어깨 넘어로 배운 지식이 있기에 설명해주긴 했으나 조금 더 상세하게 알아보려고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모터의 고정자 결선 방식은 모터의 전기적 특성과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Y결선(스타 결선, Y 결선)과 Δ결선(델타 결선)은 모터 설계와 운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결선 방식으로, 각 방식의 동작 원리, 특징,..
2024.12.20 -
망간-비스무스 영구자석
망간-비스무스 영구자석 : 네오디움, 페라이트 자석 비교 안녕하세요. 스칸디대디 엔지니어 입니다. 2010년 센카쿠 열도에서 일본 해경의 중국인 선장 체포로 야기된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사건 이후 탈희토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많은 성과가 있었습니다. 제가 속해 있는 사업분야에서도 BLDC 모터에서 탈희토류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여 페라이트 영구자석을 이용한 모터를 개발했었고, 극히 일부에서만 네오디움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터가 있습니다.그러나 최근 고성능화와 더불어 소형화, 중량 저감에 대한 이슈가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간계 자석이라 불리는 망간-비스무스 영구자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최근 영구자석 산업에서 망간-비스무스(Mn-Bi) 영구자석에 대한 언급이 다양한 채..
2024.12.13